탄현

사전적 의미

탄현 彈絃
발음 [ 탄ː현 ]
표준국어대사전

명사
1.음악 거문고를 연주할 때에, 술대로 안에서 밖으로 줄을 쳐서 소리를 내는 방법.

느낌적인 의미

기타가 거문고와 같지는 않지만, 다행히 우리나라에 현악기가 있어서 관련 용어들이 우리말(또는 한자)로 남아 있습니다. 탄현도 그중에 하나인데요 우리말로 바꾸면 ‘줄을 치다’ 정도가 되겠습니다.

그런데 클래식기타는 보통 맨손으로 연주하기 때문에 줄을 친다기보다 뜯거나 튕긴다는 것이 더 맞는 것 같습니다. 흔히 줄을 뜯는 주법 하면 아르페지오가 떠오르듯이, 클래식기타는 줄을 뜯는 것 처럼 보입니다. 영어에서도 plucking instrument라는 표현이 있는데 사실은 줄을 뜯으면 안됩니다.

클래식기타 소리내는 법(tone production)을 배우다 보면 줄을 뜯는 것이 아니라 부드럽게 스쳐지나간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줄을 터치(touch)한다는 표현도 씁니다.

 

해석:

아름답고도 짙은 소리를 내기위해서는 탄현할 때 손목 쪽으로 손가락을 움직여야 합니다. a 손가락을 예를 들면, 보통 줄을 바깥쪽으로 뜯기가 쉽습니다.

(시연)

그렇게 되면 아주 얇고 날카로운 소리가 납니다.

(시연)

클래식기타 연주를 잘 하고 싶으시다면 탄현 할 때 짙고 농익은 소리가 나도록 훈련해야 합니다.

(시연)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a 손가락이 움직인 후에 손바닥을 향해야 하는데 거의 줄을 쓰다듬는 것과 같습니다.

(시연)

비교해 보시면,

(시연)

자 이제 A음 하나와 A-C#화음을 들어보시죠.

1,537 조회수, 1 오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