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전적 의미
기타에서 버징은 줄을 튕겼을 때에 기타의 어디선가 물체가 빠르게 진동하여 부딛치는 듣기 싫은 소리를 뜻한다.
느낌적인 의미
기타에서 버징이 나는 이유는 정말 다양합니다. 그 중에서 인적 원인을 살펴보면 연주자의 왼손이나 오른손에서 발생합니다.
-왼손가락이 줄을 누를 때 힘이 너무 부족한 경우
-왼손가락이 줄을 누를 때 프렛에서 너무 먼 쪽을 짚었을 경우
-왼손가락이 ①번줄이나 ⑥번줄을 누르다가 줄이 지판 밖으로 삐져나갔을 경우
-왼손가락이 누르고 있던 진동하는 줄에서 손을 뗄 때 너무 천천히 떼는 경우
-왼손가락의 손톱이 진동하는 줄에 닿았을 경우
-오른손가락의 손톱이 진동하는 줄에 닿았을 경우
-오른손이 연주 할 때에 너무 강하게 탄현하였을 경우
-연주할 때에 옷의 단추 등 단단한 물체가 진동하는 기타에 닿았을 경우
위와 같은 버징은 연주실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버징이 전혀 없는 연주는 거의 불가능한데, 기타의 단점이기도 하고 피아노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칠고 인간적인 면에서 기타의 특징이기도 합니다. 인적 원인으로 버징이 나는 것은 연주실력의 문제 뿐만 아니라 기타줄의 장력이 너무 세거나 현고가 너무 높아서 연주를 어렵게 하는 다른 원인들이 함께 작용합니다.
아래 연주를 들어보시면, 버징이 많이 나는 편이지만 별로 거슬리지 않고 오히려 기타스러운 느낌이 나기도 합니다.
기타 자체에서 나는 버징도 원인이 다양한데, 구조적인 결함 말고는 대부분 쉽게 문제해결이 가능한 것들입니다.
– 헤드쪽 기타줄의 잔가지가 기타에 닿았을 경우
– 헤드쪽 튜닝머신의 부품이 헐거워져 있을 경우
– 헤드쪽 3번줄 또는 4번줄이 지나가는 곳이 기타와 닿았을 경우
– 헤드쪽 너트 홈에 줄이 밀착이 안되어 있을 경우
– 헤드쪽 클립형 조율기가 부착이 잘 안되었을 경우
위와 같이 헤드쪽에서 버징이 많이 나기 때문에 의심되는 곳을 손으로 짚어가며 버징의 원인이 어디인지 찾을 수 있습니다. 비슷한 경우로 브릿지 쪽에서도 버징이 날 수도 있습니다.
– 브릿지쪽 기타줄의 잔가지가 기타 앞판에 닿았을 경우
– 브릿지가 기타에서 살짝 떨어졌을 경우
– 하현주가 홈에 밀착되지 않고 헐거워져 있을 경우
이러한 경우는 버징을 일으키는 원인을 제거함으로써 간단히 해결할 수 있습니다.
4,057 조회수, 5 오늘